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탕후루와 달고나 라떼, 흑당 밀크티까지. <br> <br>요즘 달달한 음식들이 우리의 입맛을 제대로 저격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물리치기 힘든 단 맛의 유혹에 넘어가면 건강을 망치기 십상입니다. <br> <br>그래서 일부 국가들은 단 맛과의 전쟁을 선포했습니다. <br> <br>세계를보다 권갑구 기자입니다. <br><br>[기자]<br>사람들이 길게 줄을 섰습니다. <br> <br>일본의 유명 도넛을 맛보기 위해서입니다. <br> <br>[현장음] <br>여기 있는 사람들은 이 도넛을 위해 3시간이나 줄 섰습니다. <br> <br>영상을 찍은 유튜버가 도넛을 손에 넣기까지 걸린 시간은 4시간에 달합니다. <br><br>대만에서 시작된 것으로 알려진 버블티는 태평양 건너 미국의 입맛도 사로잡았습니다. <br> <br>[현장음] <br>지금 5시 15분입니다. 제일 좋아하는 버블티 상점이 6시에 닫습니다. 걸어서 51분 걸리는데, 시간 맞춰 갈지 보겠습니다. <br> <br>보바티로 불리기도 하는 버블티는 녹말 종류인 타피오카 떡이 들어간 달콤한 밀크티로 이젠 전 세계가 즐깁니다. <br> <br>SNS로 인증 사진을 남기는 젊은 층들 유행과 맞물려 더 화려하고 달콤한 디저트 열풍이 이어지면서 설탕 소비 증가세도 멈추지 않고 있습니다. <br> <br>지난해 전 세계 설탕 소비량은 1억 7600만 톤. <br> <br>올해는 1억 8000만 톤을 넘어 역대 최대 소비량을 갈아치울 전망입니다. <br><br>앞서 본 디저트들입니다. <br> <br>도넛 1개엔 설탕 30g, 버블티는 최대 60g, 우리나라에서 유행하는 탕후루 1개엔 24g이 들어갑니다. <br> <br>세계보건기구가 권장하는 하루 설탕 섭취량은 25그램. <br> <br>하나만 먹어도 하루치 설탕을 다 먹는 겁니다.<br> <br>설탕이 과다 소비 속에 지구촌 비만 인구는 8억 명 비만율 상위 국가들을 살펴보니 태평양의 작은 섬국가들이 13위까지 차지했습니다. <br> <br>식품 자립도가 낮아 가공식품 위주로 먹기 때문입니다. <br> <br>미국은 14위, 우리나라는 165위입니다.<br> <br>상위 30개 나라 중 19개국 주민 1명당 하루 평균 설탕 섭취량은 권고량을 훌쩍 넘는 32.7그램 이상이었습니다. <br><br> <br>[와파 헬미 아이샤 / 두바이 의료보건국 식품보건과장] <br>"당신이 비만이라면, 당신은 몸을 혹사시키는 겁니다." <br> <br>국민 건강이 나빠지면 치료비 증가와 생산성 악화 등 사회적 비용도 늘어나기 때문에 대책 마련에 나선 국가들도 등장했습니다. <br> <br>일본은 지난 2008년 직장인과 공무원을 대상으로 '비만금지법'을 제정했습니다. <br> <br>매년 건강검진에서 허리 둘레가 일정 기준을 초과하면 관리 대상이 되고 한 직장에서 비만 직원이 많아지면 고용인은 벌금이 부과될 수 있습니다. <br> <br>영국은 비만도가 일정 수치 이상인 국민들을 위한 체중 관리 프로그램을 운영합니다. <br> <br>[영상 설명음] <br>영국 국민의료제도는 무료로 온라인 체중 관리 프로그램을 제공합니다. <br> <br> 우리나라에는 없지만 설탕 함유 음료에 대해 세금을 부과하는 국가도 지난해 12월 기준 최소 85개국에 달합니다. <br> <br>2035년이면 세계 비만 인구는 중국 인구에 맞먹는 15억 명으로 예측됐습니다. <br> <br>1인당 하루 설탕 소비량(27.8g)이 이미 권장량을 넘어선 우리나라도 더 이상 먼나라 얘기만은 아닙니다. <br> <br>세계를보다, 권갑구입니다. <br><br>영상취재 : 장명석 <br>영상편집 : 김지향<br /><br /><br />권갑구 기자 nine@ichannela.com